본문 바로가기
재미난 고사성어

<당서>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망운지정 (望雲之情)

by 헤라클래스 2022. 1. 21.
반응형

 오늘은 <당서>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망운지정 (望雲之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사성어라는 것은 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로 된 관용어로,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네 글자로 된 단어가 많지만 짧으면 두 글자에서 길면 열 두 자까지 있습니다.

 

부모님의-손을-잡고있는-아이가-그려진-그림의-모습
망운지정 (望雲之情)

망운지정 (望雲之情)

 <당서>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망운지정 (望雲之情)'의 한자의 뜻을 그대로 풀이하자면 '흰 구름을 보며 부모를 그리워하다.'라는 뜻이며, 풀어서 내용을 알아보면 '고향을 떠난 자식이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망운지정 (望雲之情) 한자 풀이

<望 바랄 망>, <雲 구름 운>, <之 어조사 지>, <情 뜻 정>

 

망운지정 (望雲之情) 유래

 당나라 고종 때의 이름난 신하인 적인걸이 병주의 법조참군으로 임명되어 부임하게 됩니다. 그의 부모님은 병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인걸이 태행산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니 흰 구름 한 조각이 외롭게 떠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옆에 있는 사람들을 보며 "내 부모님이 저 구름 아래에 살고 계신다네.."라고 말했는데요. 인걸은 오래도록 구름을 바라보면서 부모님을 그리워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당서>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망운지정 (望雲之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일반적으로 옛날의 일을 유래로 하여 지금까지 내려온 고사성어는 시대가 지남에 따라 생명력을 잃어버리기도 하는데, 고사성어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옛사람들의 가치관이므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시대정신과 조화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무작정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많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